직구할때 관세계산기 이용방법과 관세납부 방법
IT,PC,모바일,스마트폰 정보와 팁 그리고 제품리뷰와 생활정보
직구할때 관세계산기 이용방법과 관세납부 방법
지난번에 AI Riders 고글 점퍼를 독일 사이트에서 구매했었는데요. 이제 인천공항에 도착을 해서 관세를 내기 위해서 진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배대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대지 홈페이지에서 관세 확인이나 납부도 가능하지만 직배를 이용하는 경우 직접 관세를 납부 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구 할때 직배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세납부 하는 방법과 관세계산기를 이용해서 사전에 관세 비용 계산하는 방법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제가 이용한 사이트에서는 DHL 을 이용한 직배였는데요. 다른 배송 업체도 비슷하게 처리 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DHL에 통관을 위한 개인통관고유번호 알려주기
일반적으로 직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배송업체에서 통관까지 진행을 해주는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DHL 을 이용했었고, DHL 에서 문자와 메일로 통관을 위한 서류 작성을 요청 했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메일의 일부를 캡쳐한 건데요. 개인정보 수집 이용및 동의에 대한 동의와 개인통관고유번호까지 작성을 해서 메일로 회신을 주면 통관이 진행이 됩니다.
개인통관고유번호는 사이트 에서 발급및 조회가 가능 하므로 접속 하신후에 없으시면 새로 발급 받으시고 있으시면 조회를 해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조회를 하면 아래와 같이 개인통관고유번호를 확인 할수가 있습니다.
관세납부 하는 방법과, 관세계산기 이용하는방법
통관이 진행이 되면 관세가 부가가 되는데요. 이런 관세는 사전에 미리 계산을 해서 직구 할때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어느정도는 확인 할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하는방법은 네이버에서 관세계산기를 검색해서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관세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직구로 구매한 물품의 종류와 금액, 그리고 중량입니다. 아래는 네이버 관부가세 계산기를 이용해서 이번에 제가 구매한 물품을 계산한건데요. 총 88,932 원이 나왔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부과된 관세는 얼마였을가요? 많은 분들이 실제 관세는 더 적게 나온다고 말씀 하셨던거 같은데 저 같은 경우에는 실제 관세가 조금더 적게 나오기는 했지만 비슷한 수준으로 나왔습니다. 아래와 같이 보시면 실제 관세 부과된 금액은 84,320원 이였습니다. 4000원 정도 관세계산기에서 예상했던것보다 적게 나왔네요 ^^
관세를 납부 하는 방법은 배송업체에서 보내준 관세 서류를 이용해서 은행에 납부 하거나, 아니면 인터넷지로와 같이 온라인으로 직접 납부를 할수가 있습니다. 은행에 가서 납부 하는 방법은 번거로우니 인터넷 지로를 이용해서 직접 납부 하시는 방법이 편할거에요.
인터넷 지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앱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앱을 다운 받으신후에 공인인증서를 통해서 가입을 하시면 됩니다. 가입을 하신후에 정상적으로 로그인을 하셨다면 아래와 같이 메뉴를 눌러서 조회/납부 할 세금을 국고금에 관세를 선택을 하시면 되는데요.
관세를 선택 하신후에 아래와 같이 전자납부번호를 입력 하시거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하시면 됩니다.기본적으로 주민등록번호는 자동 기입이 되기 때문에 그상태에서 조회를 눌러 주시면 현재 부과되어 있는 관세를 직접 확인 할수가 있습니다. 관세조회된 화면에서 납부할 관세를 선택 하시고 하단에 있는 납부 버튼을 눌러 주시면 납부를 진행 할수가 있습니다.
납부는 계좌이체와 신용카드 모두 가능하지만 모두 본인 명의로만 납부가 가능 합니다. 납부 방법을 선택 한후에 다음을 눌러 주신후에 최종 정보를 확인하고 납부를 진행 하면 됩니다. 정상적으로 납부가 되었다면 정상 납부되었다고 나오며, 영수증도 확인으르 할수가 있습니다.
관세가 납부가 되었다면 이후에는 국내 배송이 진행이 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직구할때 특히 직배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세 납부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그리고 네이버 관세계산기를 이용해서 관세를 미리 확인하는 방법과 실제 관세와의 차이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았는데요. 직구를 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라면서 이만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 까지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