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개인파일과 OS 이미지 백업 하는방법
IT,PC,모바일,스마트폰 정보와 팁 그리고 제품리뷰와 생활정보
윈도우10 개인파일과 OS 이미지 백업 하는방법
이 글을 보는데 도움이 되는 목차
IT 쪽 업무를 하다가 보면 중요하게 느끼는게 바로 백업 인데요. 파일이 실수로 인해서 삭제가 되거나 디스크에 문제가 있어서 복구가 않되는 경우를 대비해서 항상 백업을 받아 놓는게 중요 합니다. 개인 PC 의 경우에도 보통은 그런일이 생기지는 않지만 중요한 파일이 삭제가 되거나 없어지는 경우가 생길때 복구 하는 방법을 만들어 두면 좋습니다. 특히 개인 컴퓨터의 경우에는 이것저것 설치하다가 보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이런 경우에도 바로 복구 할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으면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10 에서 개인파일과 윈도우10 OS 이미지를 기본 툴을 이용해서 백업을 받아 놓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려고 합니다. 보통은 백업을 잘 사용 않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한번 여유가 되신다면 백업을 받아 놓으시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첫번째, 윈도우10 에서 개인 데이터 백업하는 방법
첫번째로 개인 파일들을 백업하는 방법인데요. 개인 파일은 내문서에 있는 파일이나, 동영상, 사진, 음악, 혹은 내가 만든 폴더 드라이브 등에 있을수 있겠죠. 일단 윈도우10 에서 백업 설정을 열기 위해서 설정에서 백업 설정을 여시면 되는데요. 간단하게 시작버튼을 누르신후에 "backup" 으로 검색 하시면 쉽게 백업 설정을 여실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설정]-[업데이트 및 보안]-[백업] 설정이 바로 열리게 됩니다. 그러면 백업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 바로 하단에 "파일 히스토리를 사용하여 백업"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데요. 이부분에서 "드라이브 추가" 를 선택 하시면 해당 드라이브로 개인 파일들을 백업 받을수가 있습니다. 사용 하기 위해서는 공간이 여유가 있는 드라이브를 준비해 놓으시는게 좋습니다. 그래야지만 내가 가지고 있는 파일들을 모두 백업 받을수 있으니까요.
"드라이브 추가" 를 눌러 보시면 하단과 같이 사용가능한 드라이브가 표시가 되고 해당 드라이브를 선택을 하시면 이후부터는 해당 드라이브를 이용해서 파일들이 백업이 되게 됩니다. 그러면 필요할때 이를 이용해서 복구를 할수가 있게 되는거죠. 기타 옵션에서는 제외할 폴더나, 혹은 백업 주기등의 설정을 추가로 하실수가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드라이브 선택이 완료가 되면 아래와 같이 " 자동으로 파일 백업 " 이 활성화 되어 있는걸 보실수가 있을거에요.
하단에 있는 "기타 옵션" 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옵션이 나오게 되는데요. 처음 백업 기능을 활성화 한후에는 백업이 바로 진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지금 백업 버튼을 눌러서 바로 백업을 시작 하실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하단에 보시면 스케쥴링을 설정 해서 원하는 주기마다 백업을 하실수도 있고, 추가로 내가 원하는 폴더를 추가해서 백업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내 계정 하위에 있는 대부분의 폴더는 백업이 되도록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혹시 다른 위치에 저장한 파일들이 있으시다면 폴더 추가 버튼을 눌러서 추가 하시기 바래요 ^^
그리고 하단으로 조금 더 내려 보시면 이 폴더 제외라고 해서 특정 드라이브를 지정한후에 하위 폴더중에서 제외 하고 있는 폴더가 있다고 하면 여기에 추가를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 폴더는 백업을 하지않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적당하게 필요한 부분들을 백업을 받아서 사용 하시면 됩니다.
"지금 백업" 버튼을 눌러 주시면 아래와 같이 바로 백업이 시작이 됩니다. 실제로 얼마나 걸리는지 남은 시간등은 표시가 되지는 않지만 백업이 되고 있는 동안 다른걸 하셔도 무방 합니다.
두번째, 윈도우10 이미지 백업 하는 방법
두번째로 개인 파일이 아닌 윈도우10 OS 이미지 자체를 백업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시면 윈도우가 설치 되어 있는 드라이브를 통으로 이미지 백업을 한다고 보시면될거 같습니다. 해당 메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처음 백업 설정을 여신후에 "백업 및 복원으로 이동 (Windows 7)" 를 클릭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하단과 같이 백업 및 복원(Windows 7) 제어판 화면이 나오는데요. 옆에 Windows7 이라고 적혀 있지만 해당 툴을 이용해서도 윈도우10 시스템 이미지를 생성할수가 있습니다. 하단 이미지를 보시면 바로 옆에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 를 클릭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하단과 같이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 가 보이며, 백업을 저장할 위치를 선택 하는 단계가 나옵니다. 마찬가지로 여유가 되는 드라이브를 선택 하시면 되는데요. 윈도우10이 설치 되어 있는 드라이브 정도의 여유 공간이 되는 드라이브를 선택 하셔야 합니다. 가능하면 대용량 외장 디스크를 이용하는게 제일 좋은 방법이 될거 같습니다. 저는 4TB 짜리 외장 드라이브를 이용해서 백업을 저장 했습니다. 다음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기본적인 설정을 하면 아래와 같이 Local 드라이브는 모두 백업이 진행이 되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여유 공간이 아래와 같이 계산이 되어지는데요. 확인 하셔서 여유가 되는지 보신후에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백업 시작 을 클릭 하시면 아래와 같이 "백업 저장 중.. " 이라고 나오면서 백업이 진행이 됩니다. 백업 시간은 상황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용량이 크고 디스크 성능이 느리다면 오래 걸릴수도 있겠죠 ^^
이상으로 윈도우10 개인파일과 OS 이미지 백업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그리고 개인 파일을 복구 하시고 싶으시다면 파일 히스토리를 이용해서 복구를 진행 하시면 됩니다. 이건 차후에 백업이 완료된후에 복구 하는 방법을 해본후에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 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