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Windows

윈도우 파일 탐색기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 안될때 해결 방법

HKEBI 2022. 12. 24. 23:55

윈도우를 사용을 하다가 보면 파일 탐색기를 이용해서 파일을 탐색을 할때 파일 이름은 보이지만 파일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아주 간혹 발생을 합니다. 윈도우는 이렇게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들을 아이콘 캐시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생성을 해서 관리를 하게 되는데요. 아주 간혹 이 캐시 파일이 문제가 생겨서 제대로 아이콘이 표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윈도우 아이콘 캐시 파일을 재구성 해서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윈도우 파일 탐색기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 안될때 해결 방법 사진 1

파일탐색기에서 아이콘 캐시를 재구성하는 방법

제일 간단한 방법은 그냥 파일탐색기에서 아이콘 캐시 파일을 삭제를 해서 자동으로 재생성이 되어서 구성이 되도록 하는겁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아이콘 캐시 파일이 어디에 생성이 되는지 모르실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파일 탐색기를 여신후에 아래 경로로 이동을 해보세요.

C:\Users\%username%\AppData\Local\Microsoft\Windows\Explorer

위 경로로 이동을 하면 아래와 같이 파일 탐색기에 아이콘 캐시 파일들이 보이게 됩니다. 

윈도우 파일 탐색기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 안될때 해결 방법 사진 2

여기에 표시가 되는 iconcache 파일들을 모두 선택을 하신후에 삭제를 해주시면 됩니다. 파일을 삭제를 하게 되면 바로 재 생성이 되는 캐시 파일들이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IconCacheToDelete 라는 폴더가 생길수도 있는데요. 이 폴더는 윈도우를 재시작 하시면 자동으로 삭제가 됩니다. 

이렇게 해서 아이콘 캐시 파일을 재구성을 한후에 아이콘이 표시가 되지 않는 문제가 해결이 되었는지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매우 간단한 방법이지만 간혹 아이콘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에 시도해 볼만한 방법입니다. 

CMD 에서 아이콘 캐시 파일 삭제 하는 방법

첫번째 방법은 파일 탐색기를 이용을 하는 방법이였고, 두번째 방법은 CMD 명령프롬프트 창을 이용을 하는 방법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CMD 명령프롬프트 창을 하나 실행을 해보세요.

cd %homepath%\AppData\Local\Microsoft\Windows\Explorer
taskkill /f /im explorer.exe
del iconcache*
explorer.exe

그리고 위와 같은 순서로 명령어를 입력을 하시면 아이콘 캐시 파일을 바로 삭제할수가 있습니다. 역시 마찬가지로 삭제된 파일은 자동으로 재생성이 되면서 캐시 파일이 재구성이 되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서 위에 파일탐색기에서 삭제하는것보다 이렇게 cmd 창에서 삭제를 하는게 더 잘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파일탐색기 혹은 작업표시줄등 explorer 자체를 중지 시켜놓고 하기 때문에 삭제가 안되는 경우는 없을거 같습니다. 

윈도우 파일 탐색기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 안될때 해결 방법 사진 3

만약에 윈도우에서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가 되지 않는 문제를 겪고 계시다면 이렇게 해서 아이콘 캐시 파일을 재구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해서 해결이 될수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파일 탐색기 아이콘이 제대로 표시 안될때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동일한 문제를 겪고 계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랄께요. 여기까지 포스팅을 보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에 있는 구독 & 공감 & 댓글 많이 부탁 드려요.